하지만 외부 DRM(암호화 프로그램, 어떤 DRM인지 공개하지 않습니다. )을 사용한 환경에서
암호화된 hwp파일로부터 pdf저장을 실행하면,
"지원하지 않는 확장자로 오픈이 불가능합니다."라는 "한글 오피스"의 메시지창이 뜹니다.
그 동안(약 4주)은 DRM문제로 판단하면서 진행했었는데,
DRM 담당자 말에 의하면,
한글 오피스 자체로 A.hwp파일을 열고 B.hwp파일로 "다른 이르으로 저장"을 하면 한글 오피스는 B.hwp파일을 연 상태로 바뀐다고 합니다.
SaveAs함수에도 동일한 시나리오로 동작하고 있어서 한글 오피스에서 pdf파일을 열려고 시도하면서 메시지창을 뜬다고 안내해주셨습니다.
그래서 함수 파라미터에서 Saveas(lpszPath, “PDF”, “lock;false;export”);로 바꿔서 실행해보았고 동일한 상황입니다.
저희 입장에서는 DRM환경에서 암호화된 문서만 동작하기 때문에 DRM문제로 판단되기도 하고,
메시지 자체가 한글 오피스의 메시지이기 때문에, 한글 오피스 문제로 판단되기도 합니다.
해당 문제에 대한 검토 부탁드립니다.
외부 환경의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라서 내부에서 원인 분석을 할 수가 없습니다.
보통 DRM에서는 CreateFile과 같은 Win32 API를 후킹하면서 파일 암/복호화를 처리해줍니다.
한컴오피스 앱에서는 이 과정을 개입하지 않기 때문에 저희가 답변드릴 수가 없습니다.
"DRM 담당자 말에 의하면,
한글 오피스 자체로 A.hwp파일을 열고 B.hwp파일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하면 한글 오피스는 B.hwp파일을 연 상태로 바뀐다"라는 답변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한글 앱에서 다루는 메인 포맷인 hwp, hwpx인 경우에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할 경우 저장한 파일을 가리킵니다.
(이전 파일의 Lock을 풀고, 저장한 파일에 Lock을 건다 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겁니다.)
단, PDF와 같은 외부 포맷인 경우에는 지정한 경로로 문서만 저장시킵니다.
@user106 님,
업체가 지금도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고 보장할 수 없고, 지금은 확인되지 않아 오해가 생길 수 있어서 업체명을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글오토메이션 포럼은 오토메이션 API 사용 방법을 공유하는 자리이니
되도록이면 문제/이슈 해결이나 기술 지원이 필요한 것이 있으면 고객지원센터로 문의 부탁드립니다.